시와 도의 경계에서

 

 

경기도와 서울시를 넘나드는 빨간 버스를 탈 때면 정신이 몽롱해진다. 내가 지금 시로 진입하고 있는지 도를 향해 가는지 궁금할 때쯤이면 전방을 주시한다. 안녕히 가십시오. 어서 오세요. 유난히 친절한 문구로 말미암아 다시금 목적지를 상기한다. 목적지는 정해졌고. 어디 보자. 이제 뭘 하지. 몽롱해진 나의 의식은 운전자를 향한다. 운전자는 나의 시선을 아는지 모르는지 특유의 선글라스를 쓴 채 포커페이스를 유지한다. 간결한 최소 동작으로 최대의 효율을 내는 그의 운전법을 언젠가 꼭 배우고 싶다.
 
상행선과 하행선의 갈림길에서 어김없이 운전기사는 반대쪽 방향에서 나타난 같은 번호의 광역버스를 보고 손을 흔든다. 저 인사법은 무엇인가. 잡념이 시작된다. 인사하는 대상은 마주보고 오는 버스일까 아니면 버스 운전사일까. 당연히 버스 운전사일 거라고 멋대로 단정한다. 그렇다면 저 운전기사를 알기 때문에 인사를 하는 걸까.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또는 정말 우연히도 마주보게 된 운전수의 얼굴이 자신이 오랫동안 못 본 친구여서 인사하는 걸지도 모른다. 그것도 아니라면 회사의 방침이 같은 회사 버스이면 무조건 손 인사를 하도록 한 건지도 모른다. 가능성은 열려 있다. 직접 물어보지 않는 이상 어떤 이유로 손을 흔든 건지는 알 수 없다.

 

그런데 저 인사는 너무 건성이지 않은가. 그저 손을 흔들고 마는 저 인사는 간결하기 그지없다. 오랜만에 본 친구라면 경적이라도 울리고 싶은 게 운전수의 본심 아닐까. 아니지. 그랬다간 뼈도 못 추릴 정도로 대형사고가 날 수도 있으니. 운전수의 프로의식을 높이 사야겠다. 그런데 왜 하필 오른손인가. 단순히 오른손잡이라서? 오른손잡이이기 때문에 왼손으로 핸들을 잡고 기어를 조종하기 때문에 오른손으로 인사한 건가. 아직까지 왼손으로 인사하는 기사를 본 적이 없으니 이건 쉽게 결론을 내릴 수 없을 것 같다. 근데 운전을 하다가 한 손을 놓는다는 건 조금은 위험한 짓 아닐까. 사고는 순간의 찰나에 일어나는 건데. 다시 생각해보니 운전수는 프로는 아닌 것 같다.

 

그냥 목례나 눈인사만 하면 어떨까. 그건 너무 인간적이지 못한가. 인간적인 것과 프로 같은 것 둘 중 무엇이 더 중요한가. 어려운 문제다. 버스 기사가 아니기에 쉬이 답을 내릴 수 없다. 그런데 잠깐 저쪽에서 오는 운전수도 선글라스를 끼지 않았을까? 그리고 빠른 속도로 지나치는 순간 얼굴을 알아보고 인사를 한다니. 뭔가 앞뒤가 안 맞는다. 그래 이건 회사 탓이다. 회사가 인사하도록 규정해버린 것이다. 지금 당장 버스 운전수가 인사를 하다가 사고가 난다면 이건 운전수 탓이 아니라 회사 탓이다. 쓸 데 없는 규정 때문에 사고 가능성을 높이다니 너무하지 않은가.

 

혼자만의 상상을 즐기며 미소를 짓다가 흠칫 놀란다. 밖에는 소나기가 내리고 있다. 우산도 없는데 꼼짝없이 비 맞게 생겼네. 이제 곧 버스에서 내리려고 일어서는데 버스 기사가 친절히 “안녕히 가세요”라고 인사한다. 나도 덩달아 “감사합니다”하고 내린다. 그런데 가만 비가 오는데 저 분은 왜 선글라스를 끼고 있을까. 세상에는 궁금한 일들이 참 많다. 버스 운전사가 선글라스 끼게 한 것도 회사의 지시사항이었을까. 뭔가 그건 아닐 것 같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지만 쉽게 단정하지 못하겠다. 일단 비를 피한 후 생각해보자.

 

사진출처: 엔하위키 미러

'라커의 [무념유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하기의 어려움  (1) 2015.06.15
특별한 사람을 찾아서  (0) 2015.06.03
방황의 아름다움  (1) 2015.05.20
다락방의 추억  (0) 2015.05.01
통화 연결음  (0) 2015.04.15

* <뉴 레프트 리뷰>는 1960년 영국에서 창간되어 격월로 발간되는 잡지입니다. 이따금 한국어로 번역되어 단행본(도서출판 길)으로 출간되긴 하지만, 영어판 잡지에 기고된 글을 선별적으로만 다루는 형편입니다. 그래서 <BIG HIP>에선 <뉴 레프트 리뷰>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된 글들을 최대한 번역해서 수록할 예정입니다. 저는 전문 번역가가 아니기에, 분명 오역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혹시 그걸 발견하신 분이라면, 제게 훈수를 두셔도 좋습니다. 말하자면, 저는 여기서 공동 번역 작업을 제안하고 있는 셈입니다.

 

[91 jan.feb 2015] 에브게니 모로조프, <데이터 센터를 사회화하자!> - ①

 

 


어떻게 당신의 작업에 정치와 기술을 접목시킬 수 있었나?

 

2004년 이후, 나는 우크라이나와 다른 지역의 시위자들이 문자 메시지와 블로그를 통해 결집된다는 이야기를 믿었다. 2006년 3월 벨라루스는 선거를 앞두고 있었을 때, 나는 자문해봤다.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그 시점에, <트랜지션>Transitions이라는 이름의 인쇄 잡지print magazine를 발간하다 90년대 후반부터 온라인으로만 발간하기 시작한, 프라하Prague에 거점을 둔 NGO 트랜지션 온라인Transitions Online과의 협력을 시작했다. 비용을 대기 위해, 그들은 여러 종류의 부차적 활동을 벌여야 했으며, 그래서 NGO로 탈바꿈한 초기엔 전 소련 블록에서 온 기자에게는 기삿거리를 취재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자기의 삶을 기록하고 싶어 하는 집시Roma를 가르치는데─돈 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whatever there was money for─집중했다. 대부분의 기금은 교육이나 지역적 이슈에 관심을 가졌던 소로스 네트워크Soros network에서 마련되었다. 자본의 다른 출처들로는 민주주의를 위한 국가기금the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인터뉴스Internews, 아마도 독일 마셜 기금the German Marshall Fund, 그리고 이와 같은 미국 조직들에 더하여, 체코 정부와 스웨덴 국제 개발국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y 등이 있었다. 대다수는 프로젝트 별로 지원되었다. 결국 트랜지션 온라인은 블로깅이나 사회 연결망social network 등 뉴 미디어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기 시작했다. 나는 이 영역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쓴 우편을 그들에게 보냈고, 결국 벨라루스 블로그를 인계받게 되었다. 뉴 미디어의 영역이 매우 빠른 속도로 전(前) 소련을 가로질러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을 때, 나는 그들을 위해 전임으로 일을 맡게 됐다. 이 말은 그들을 교육하면서 전 소련의 상당히 넓은 지역을 여행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당시 어디에 머물고 있었나?

 

나는 베를린에서 삼 년하고 반년을─일 년은 유러피언 컬리지 오브 리버럴 아츠에서, 그리고 이 년 반은 NGO에서 일하며─머물렀다. 하지만 2008년 8월에 나는 NGO에서의 일뿐만 아니라 여러 기금 제공자의 태도, 그리고 그들의 기술과 정치에 대한 억측assumptions 때문에 좌절하게 되었다. 소로스는 원하는 어디에서라도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오픈 소사이어티 장학재단Open Society Fellowships을 창설했다. 장학금 중 하나를 받자마자 나는 어디에 머물러야 할지 정해야 했고, 뉴욕으로 간다면 책을 출판하기 더 쉽지 않을까 추측했다. 나는 이미 많은 글─그렇게 깊이 있지는 않지만,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에 자유 기고하던 여러 편의 오피니언─을 쓰고 있었다. 물론 기사에 이름을 올리진 않았지만, 계간 공학technology 부록과, 잡지 내의 국제 면에 꽤 많은 글을 게재했다. 이미 나는 기술과 정치에 대한 표준적인 지식에서 무엇이 문제인지 알고 있었다.

 

이것들이란 무엇이었는가?

 

나는 우리 프로젝트에서 기대했던 결과의 결핍뿐만 아니라 우리가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 피해 때문에 좌절했다. 우리는 민주주의의 발전을 장려함으로써 세계를 구하려 했으나, 스스로 뉴 미디어를 통해 흥미로운 프로젝트를 수행해왔던 벨라루스나 몰도바, 혹은 코카서스 등지의 여러 사람들을 결국 우리가 망칠 거라는 것이 내게는 명백했다. 우리가 상당히 많은 돈을 가지고 도착해서 건넨 뒤, 그들은 곧 전혀 다른 식으로 생각하게 될 것이었다. “좋아, 비록 내가 실패하더라도 나는 또 다른 장학금을 받을 수 있어.” 후에 우리의 목적 자체도 의심하기 시작했지만, 당시 나는 목적을 믿고 있었고, 만약 우리의 목적이 출판과 대화의 독립적 문화─하버마스의 공론장Habermasian public sphere[각주:1]  같은─를 증진시키는 것이었다면, 그것을 돈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계획하는 것은 잘못된 방향이라고 생각했다. 

 

동시에, 우리는 이러한 국가들의 힘 있는 정부를 지원자로 간주했는데─최소한, 아무도 적이라고 말하진 않았다─그들의 우선사항이 우리와 정반대였다는 것은 명백했다. 우리는 단지 이러한 독립적인 목소리들을 들리게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정부들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교활하게─감시를 강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블로거들을 고용하여 프로파간다propaganda를 만들어내고, 온라인 대화를 조작하고, 웹사이트에서 서비스 거부 공격denial-of-service attacks[각주:2]을 하는 등─뉴 미디어 공간에 툴tool, 기술, 그리고 전략을 신속히 동원했다. 우리는 이에 대해 정당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 물론 회상해보면, 우리가 그렇게 했던 데에는 이유가 있었다. 미국 기업들이 우즈베키스탄 정부에 감시 장비를 공급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것은 민주주의를 위한 국가 기금의 소관 밖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첫 책 『넷 딜루전』Net Delusion을 출간했을 때, 나의 목표는 해방의 신호탄으로서 우리가 경탄해 마지않던 여러 툴, 플랫폼 그리고 기술이 마찬가지로 바로 그 활동가, 반체제 인사와 우리가 추구했던 대의cause에 등에 돌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각주:3]  오늘날 이 말은 당연하게 들린다. 하지만 그때 당시 대부분의 기부자와 서양의Western 정권은 단순하게도 독재자들이─그들이 독재적인 정부를 뭐라고 부르든─너무 멍청하고, 체계적이지 않고, 과학 기술 공포증technophobia 때문에 절대 ‘인터넷’을 통제하지 못할 것이며, 그래서 이 정보통신기술의 새로운 물결은 그들을 몰락시킬 것이라 가정했다. 워싱턴에서는 냉전의 종결이라는 서사가 이러한 추측을 굳히는 데 한몫했다. 소련을 몰살했던 것이 자유유럽방송Radio Free Europe과 제록스Xerox 프린터였다면, 이제 블로그와 사회 연결망social network이 민주주의의 전파 작업을 완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식으로.

 

미국의 주 정부American state가 새로운 툴과 플랫폼에 점점 더 관여할수록, 점점 더 그것에 대해 무언가 할 수 있다고 다른 정부에 귀띔해줄 것이므로, 미국 외교 정책의 기둥으로서 인터넷 자유화라는 이러한 프레임이 새로운 툴과 플랫폼이 대안적 공론장을 형성할 잠재성의 기반도 약화시킬 조짐이 내게는 명백히 보였다. 하지만 『넷 딜루전』을 썼을 때 나는 25살이었고, 결국 워싱턴 싱크탱크에 합류하지end up in a Washington think-tank 않을까 생각했기 때문에 그 책은 마치 미국 정책 입안자들에게 스스로 덫을 놓고 있다고 말하고자 애쓰고, 그들에게 달리 행동하라 충고하고 있는 것 마냥 쓰여 있다. 물론, 이제는 그런 식으로 쓰지 않지만.

 

당신은 전세계적인 선거 감시에 있어서 어떤 정부도 국가안보국NSA[각주:4]을 능가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나?

 

그렇다. 나는 국가안보국에 대해 알지 못했다. 하지만─미국 정부에 의한 사이버 공격과 같이─많은 사건들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이미 2006년이나 2007년에는 비록 늘 그렇듯 지하디스트jigadists에게서 정보를 빼내기 위해 적들의 웹사이트를 다운take down시키는 걸 원치 않는 CIA와 펜타곤Pentagon 사이의 긴장이 있었다 하더라도, 지하디스트나 다른 적들의 웹사이트를 다운시켜야 하는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에는 그에 해당하는 전용 기구dedicated unit가 있었다는 건 명명백백했다. 그래서 힐러리 클린턴Hilary Clinton이 인터넷 자유화에 대한 2010년 연설에서 사이버 공격에 참여한 나라들을 힐난했을 때, 그것은 최악의 위선이었다. 어디서든 미국 당국자들이 블로거를 지원하는 것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단지 아제르바이잔Azerbaijan이나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 같은 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실제 정책을 고려야해야 하는 것처럼. 그건 인터넷 자유화뿐만 아니라, 인권과 다른 여러 이슈의 모순이다. 이런 해외 정책의 모순은, 미국 자체가 행하고 있던 것은 간과한 채, 러시아, 중국, 이란, 이집트와 다른 국가들이 감시, 검열, 블로거 매수, 기업에 대한 지배체제 설립 등의 측면에서 어떤 종류의 수단과 기술을 진전시켰는지 이해하고자 했던 나의 책 속에 반영되어있다.

 

오늘날 당신은 그것을 어떻게 좇는가track?

 

글쎄, 스탠포드의 래리 다이아몬드Larry Diamond 아래서 수학했고, 스스로 차기 국방/외교 정책의 ‘신동Wunderkind’으로 홍보했던 제어드 코엔Jared Cohen과 같은 인물을 예로 들어보자. 24살이었던 2006년, 국무부 정책기획부로 들어가기 전에 그는 두 권을 책─르완다Rwanda의 제노사이드에 대한 미국의 반응을 다룬 책과, 청년의 과격화youth radicalization에 대한 책─을 출판했다. 거기서 코엔은 국무부 부장관이었던, 전직 콘트라Contra[각주:5] 통제관 존 네그로폰테John Negroponte와 닷컴 버블 붕괴 직전에 ‘신 경제new economy[각주:6]에 대한 찬양일색의 글[각주:7]을 썼던, 국무부의 정치외교 담당 차관 제임스 글래스먼ames Glassman과 함께 일했다. 하지만 그의 경력은 테크노포리아technophoria[각주:8]의 흐름 속에서 오바바의 선거에서 본격적으로 날개를 폈다take off. 국무부에 계속 남아있으면서, 코엔은 콜럼비아에서 발생한 2008년 반(反)Farc[각주:9] 집회가 페이스북에 FARC에 저항하는 그룹을 만든 한 사람으로부터 시작된 게 전부라고 주장하며, ‘인터넷 자유화’의 불가피한 중요성을 논증했다. 실제로는, TV에 중계된 대통령 연설에서 페이스북 그룹을 방송에 내보내고, 모든 일을 조직했던 이는 물론 알바로 우리베Álvaro Uribe[각주:10]였다. 하지만 국무부에 이 사건은 선의를 위한 대중 집회가 신기술을 통해 마법에 걸릴 수 있다는 걸 보여준 방식의 선례showcase로 남았다. 코엔 옆에는, 오바마가 클린턴의 상급 고문으로 임명했던, 국제 관계나 외교 정책에 대한 배경지식이 얕았던 서른 살의 알렉 로스Alec Ross가 있었다. 이 짝패는 소위 ‘기술 집행 여행tech executive trips’을 주선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주요 문화 수출과 소프트 파워soft diplomacy의 근저에는 기술이 있다고 판단하여, 그들은 관련 기업들의 CEO들이 미국의 이미지를 해외로 전파하는 것을 북돋을 수 있도록 결정했다. 그래서 그들은 회장bosses을 준-문화quasi-culture 대사로 임명해, 실리콘 밸리로에서 멕시코, 시리아─아사드를 만났던─ 또는 이라크로 보냈다. 다분히 상징적이게도, 제어드 코엔은 오바바의 중요한 후원자인 구글 회장 에릭 슈미트Eric Schmidt를 바그다드로 가는 중에 만났다. 그들은 『새로운 디지털 시대』The New Digital Age[각주:11] 의 공동 저자가 되었다.

 

<원문> p. 48-52

 

How and when did you connect politics and technology in your work?


After 2004, I believed the story that the protesters in Ukraine and elsewhere were mobilized through text messaging and blogs. There were elections coming up in Belarus in March 2006, so I asked myself—what’s going to happen there? At this point I started collaborating with an ngo in Prague called Transitions Online, which used to be a print magazine called just Transitions, and in the late nineties became online-only. To pay for this, they had to develop all sorts of secondary activities, so they transformed themselves into an ngo, initially focused on teaching journalists from the former Soviet bloc how to do investigative reporting, or Roma who wanted to write about their lives—whatever there was money for. A lot of the funding came from parts of the Soros network concerned with education or regional issues. Other sources of money included the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Internews, maybe the German Marshall Fund, and alongside these American organizations, the Czech government and the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y. A lot of it was project-by-project. Eventually Transitions Online began to express an interest in new media—blogging, social networking etc. I offered to write some posts for them on what was happening in this area, and eventually took over the Belarus blog. When it became clear how quickly the new media space was developing across the former Soviet Union, we agreed that I would work for them full-time. That meant travelling quite widely in the former Soviet Union, doing training sessions for them.


Where were you based in these years?


I stayed in Berlin for three and a half years—a year in the European College of Liberal Arts, then two and a half years working for the ngo. But by August 2008 I had become frustrated not only with ngo work, but also with the attitude of many funders and their assumptions about technology and politics. Soros had created Open Society Fellowships that allowed you to work on a project from wherever you wanted. On getting one of these, I had to decide where to be based, and reckoned it would probably be easier to get a book published if I moved to New York. I was already doing a lot of writing—nothing very deep, but a lot of opinion pieces, freelancing for The Economist; of course, my name was not attached to the articles, but I worked quite a bit on their quarterly technology supplements and the international section of the magazine. I already had some ideas about what was wrong with much of the received wisdom about technology and politics.


What were these?


I was frustrated not only with the lack of the kind of results we had expected from our projects, but also the potential damage we could be causing. We were supposed to be saving the world by helping to promote democracy, but it seemed clear to me that many people, even in countries like Belarus or Moldova, or in the Caucasus, who could have been working on interesting projects with new media on their own, would eventually be spoiled by us. We would arrive with a lot of money, and put them on a grant, and they would soon start thinking very differently: ‘Great, even if I fail I can get another grant.’ Later I began to question our objectives too, but back then I believed in them, and thought that if our aim was to promote an independent culture of publishing and conversation—a kind of Habermasian public sphere—trying to engineer it by doling out money was the wrong way to go about it.


At the same time, while the governments in power in these countries were supposed to be our allies—at least, nobody said they were our enemies—it was clear their priorities were the opposite of ours. We thought all we needed to do was make these independent voices heard. But governments very quickly began deploying tools, techniques and strategies in this new media space that were much smarter than we had anticipated—not only stepping up surveillance, but creating their own propaganda by hiring bloggers, manipulating online conversations, carrying out denial-of-service
attacks on websites. We weren’t raising the right questions about this. Of course, in retrospect there was a reason why we were not asking them. It wasn’t in the remit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to be questioning whether American companies were supplying surveillance equipment to the government of Uzbekistan.


So when I began my first book, The Net Delusion, my aim was to show that many of the tools, platforms and techniques we were celebrating as emancipatory could equally be turned against the very activists, dissidents
and causes we were trying to promote.1 Today this sounds obvious. But back then, most donors and most Western governments simply assumed that dictators—or whatever they called authoritarian governments—would never be able to control ‘the Internet’, because they were too dumb, too disorganized, too technophobic, and that this new wave of information technology would bring about their downfall. In Washington the narrative of the end of the Cold War encouraged this: if it was Radio Free Europe and Xerox machines that killed off the Soviet Union, blogs and social media could now finish the job of exporting democracy.

 

It seemed clear to me that this framing of Internet freedom as a pillar of us foreign policy threatened to undermine whatever potential the new tools and platform had for creating an alternative public sphere, since the more the American state got involved in them, the more it would tip off other governments that something ought to be done about them. But I was twenty-five when I wrote The Net Delusion, and thought I might end up in a Washington think-tank, so it reads as if I’m trying to tell us policy-makers they were setting a trap for themselves, and I was advising them to act differently. Of course, I wouldn’t write it that way now.


You weren’t aware that the nsa far exceeded any government in the world in its universal electronic surveillance?


No, I didn’t know about the nsa. But a lot was in the open.cyber-attacks by the us government, for example. Already by 2006 or 2007 it was crystal clear that there were dedicated units within the Department of Defense whose job was to take down the websites of jihadists and other foes, even if there was typically tension between the Pentagon and the cia, which wanted to derive intelligence from them so didn’t want them taken down. So when Hillary Clinton condemned countries that engage in cyber-attacks in her 2010 speech on Internet freedom, it was the worst kind of hypocrisy. Just as when us officials talk of supporting bloggers everywhere, you only have to look at their actual policy in countries like Azerbaijan or Saudi Arabia. It’s not just a contradiction on Internet freedom, but also on human rights and many other issues. These foreign policy contradictions were reflected in my own book, where I was trying to understand what kinds of tools and techniques Russia, China, Iran, Egypt and other such states were developing in terms of surveillance, censorship, buying bloggers, establishing control over companies, without paying attention to what the United States itself was doing.


How would you track that today?


Well, let’s take the example of a figure like Jared Cohen, who studied at Stanford under Larry Diamond, and marketed himself as the next defence/foreign policy Wunderkind. He published two books.one on America’s response to the Rwandan genocide and another on youth radicalization.before getting a job with the Policy Planning Staff at the State Department in 2006, aged twenty-four. There he worked with former Contra-controller John Negroponte, who was Deputy Secretary of State, and Under Secretary of State for Public Diplomacy James Glassman, author of a hymn to the ‘new economy’ shortly before the dot.com bubble collapsed.2 But his career really took off with Obama’s election on a wave of technophoria. Staying on at State, Cohen used the anti-farc mobilization of 2008 in Colombia to demonstrate the vital importance of ‘Internet freedom’ to the State Department, claiming it was all started by a guy on Facebook who had set up a group to protest against the farc. In reality, of course, it was Álvaro Uribe who aired the Facebook group in a presidential address on television, and organized the whole affair. But in the State Department this became the showcase of how mass mobilization for good causes could be magicked up through the new technology. Alongside Cohen, there was now Alec Ross, in his thirties and with little background in international relations or foreign policy, whom Obama appointed as Senior Adviser to Clinton. This pair started arranging what they called ‘tech executive trips’. Since the main us cultural export and basis for soft diplomacy seemed to be technology, they decided that the ceos of these companies could help boost America’s image abroad. So they would fly bosses from Silicon Valley over to Mexico, Syria—where they met with Assad—or Iraq as quasi-cultural ambassadors. Symbolically enough, Jared Cohen met Eric Schmidt, the Google boss who is a key Obama backer, on a trip to Baghdad. They went on to become co-authors of The New Digital Age.3

 

 

socialize the data centres!(evgeny morozov).pdf

 

* 뉴 레프트 리뷰 공식 홈페이지 : http://newleftreview.org/

 

  1. 하버마스에 따르면, “공론장(public sphere)은 여론이 만들어질 수 있는 우리 사회 삶의 영역이며, 공론장은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 있다.” 다시 말하면, 공론장은 자유로운 사적 개인이 모여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소통 행위를 통해 공공선을 추구하는 이념적, 도덕적, 정치적 소통 행위의 모델이다. (옮긴이 – 네이버 지식백과) [본문으로]
  2. 시스템을 악의적으로 공격해 해당 시스템의 자원을 부족하게 하여 원래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공격을 서비스 거부 공격, 혹은 디오에스/도스(DoS)라고 한다.(옮긴이 – 위키백과) [본문으로]
  3. The Net Delusion: How Not to Liberate the World, New York and London 2011. [본문으로]
  4. 미국 연방 정부의 해독 첩보국으로 미국 국방부 소속이다. 1952년 11월 4일 해리 트루먼 대통령에 의해 창설되어, 해외 통신과 해외 신호 정보의 수집과 분석을 책임진다. NSA는 암호 해독 분석에 관여하고 타국의 유사한 기관에게서 미국의 정부 통신과 정보 시스템에 책임을 진다.(옮긴이 – 위키백과) [본문으로]
  5. Contrarevolucionario(반혁명분자) 또는 Contrarevolucion(반혁명)의 약어이다. 1979년 니카라과에서 산디니스타민족해방전선(FSLN)의 혁명이 성공하여 소모사정권이 붕괴되고 산디니스타 좌익정부가 수립된 이후, 반혁명 세력들은 온두라스와 코스타리카에서 반군을 조직하고 니카라과에 대한 무력침공을 꾀하였다. (중략) 1981년 9월 미국은 콘트라반군에게 자금공급, 산디니스타군의 이동 및 위치에 관한 정보제공, 통신수단을 이용한 지원 등 간접적인 지원을 시작했다. (중략) 1990년 2월에 치러진 대통령선거에서 친미·보수세력을 대표하는 차모로가 당선되면서 그 존재가치를 잃게 된 콘트라 반군은 곧 해체되었다.(옮긴이 – 네이버 지식백과) [본문으로]
  6.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유망분야가 출현하거나 확대되고 경제성장과 물가안정의 공존이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10년 가까운 기간 동안 안정 속의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미국경제가 이러한 특징을 보이면서 과거와는 전혀 새로운 경제패턴을 나타내고 있다고 하여 "신경제"라 불리우고 있는 것이다.(옮긴이 – 네이버 지식백과) [본문으로]
  7. James K. Glassman, Dow 36,000: The New Strategy for Profiting from the Coming Rise in the stock Market, New York 1999. [본문으로]
  8. 최신의 훌륭한 하이테크 장치를 구매함으로써 얻는 황홀경 The high you get from purchasing the latestt and greatest high tech gadget.(옮긴이 – urban dictionary) [본문으로]
  9. 콜롬비아 무장혁명조직. (옮긴이) [본문으로]
  10. 콜롬비아의 정치인이다. 2002년 ~ 2010년 대통령으로 재직하였다.(옮긴이 – 위키백과) [본문으로]
  11. Eric Schmidt and Jared Cohen, The New Digital Age: Reshaping The Future of People, Nations and Business, London 2013.(에릭 슈미트, 제러드 코언, 『에릭 슈미트의 새로운 디지털 시대: Google 회장 에릭 슈미트의 압도적인 통찰과 예측, 사람, 국가, 비즈니스의 미래를 다시 쓰다』, 이진원 역, 알키, 2014.) [본문으로]

* <뉴 레프트 리뷰>는 1960년 영국에서 창간되어 격월로 발간되는 잡지입니다. 이따금 한국어로 번역되어 단행본(도서출판 길)으로 출간되긴 하지만, 영어판 잡지에 기고된 글을 선별적으로만 다루는 형편입니다. 그래서 <BIG HIP>에선 <뉴 레프트 리뷰>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된 글들을 최대한 번역해서 수록할 예정입니다. 저는 전문 번역가가 아니기에, 분명 오역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혹시 그걸 발견하신 분이라면, 제게 훈수를 두셔도 좋습니다. 말하자면, 저는 여기서 공동 번역 작업을 제안하고 있는 셈입니다.

 

 

 

에브게니 모로조프[각주:1]

 

데이터 센터들을 사회화하자!

 

냉전 이후post-Cold War 동유럽의 정치학 기초 교육으로부터, 실리콘 밸리의 속사포patter 비평을 경유하여, 인터넷과 신자유주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사회역사적 논쟁들에 이르기까지, 당신의 작업은 어떠한 다른 기술 비평가와 달리 독특한 경로를 좇는다. 이 혁명을 양산한 배경은 무엇이었을까? 

 

나는 벨라루스Belarus의 민스크Minsk 지역에 있는, 50년대 후반 새로이 탄광 마을로 설립된 솔리고르스크Soligorsk라 불리는 지역에서 1984년에 태어났다. 거의 모든 노동력은 외부에서 유입되었고, 거기에 국가적 특성은 거의 없었다. 친가는 러시아 북부에서 왔고, 모스크바Moscow 근처에서 태어난 어머니는 70년대에 우크라이나에서 광산학 학위를 취득한 뒤 (솔리고르스크에) 왔다. 그 도시는 포타시움potassium을 채굴하여 세계 시장에서 매우 잘 팔리는 비료를 생산하는 거대 국영 기업 하나가 꽉 잡고 있다. 그 기업은 여전히 벨라루스에서 가장 이윤이 높은 기업이다. 조부모님에서부터 삼촌, 고모들까지 온 가족은 그 회사에서 일했다. 내가 일곱 살이었을 때 소련USSR이 해체되었고, 솔리고르스크 같이 작은 도시에서 살면서 많은 문제들을 겪었지만, 소련의 붕괴와 우리 가족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이 없었다. 내가 열 살 때 권력을 잡은 루카셴코Lukashenko 대통령 치하에서 벨라루스는 공식적으로는 두 개의 국어를 인정하였지만, 러시아어가 지배적인 언어였고, 솔리고르스키에서 자라는 것은 그저 러시아의 한 지방에서 자라는 것과 같았다. 우리는 민스크보다 모스크바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훨씬 많이 접했다. 초기에 벨라루스의 텔레비전은 없었다. 국내 미디어는 별로 힘이 없었고, 그래서 우리가 보는 신문들과 집에서 보는 대다수의 TV 프로그램들은 러시아로부터 온 것이었다. 칼리닌그라드Kaliningrad에 사는 사람들은 아마 내가 솔리고르스크에서 느꼈던 것보다 더 큰 단절cut off를 느꼈을 것이다. 후에 루카셴코는 만약 도시에서 미디어의 흐름을 통제하지 못한다면, 독립 국가로서 벨라루스의 존립을 입증할 능력을 상실하고, 벨라루스가 단지 친 러시아 국가밖에 되지 못할 거라는 걸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러시아 프로그램을 하루에 서너 시간으로 제한하고 몇몇 지역 뉴스와 벨라루스의 프로그램을 섞기 시작했다. 하지만 우리 부모님 같은 이들은 위성방송 수신 안테나를 사서 러시아 TV를 계속 봤는데, 특별히 루카셴코의 정치를 불신해서라기 보다는, 지역 방송이 너무 지루했기 때문이었다.  

 

어떻게 당신은 벨라루스를 떠나게 되었나? 

 

내 사촌은 네덜란드로 떠나기 전에, 운 좋게도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학사 학위를 딸 수 있었다. 그래서 우리 가족은 나도 나라 밖에서 뭔가 할 수 있으리란 기대를 걸게 되었다. 나는 미국 고등학교에서 일 년을 보내고 싶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차순위는 마케도니아와 그리스의 국경 근처에 있는, 불가리아Bulgaria의 블라고에브그라드Blagoevgrad라 불리는 작은 도시에서 공산주의 지도자들을 키우기 위한 학교였던 자리에, 소로스Soros와 미국국제개발처USAID, 그리고 아마 몇몇 정부 부처의 재정적 지원으로 90년대 초에 설립된 아메리칸 대학American University에 진학하는 것이었다. 그곳은 솔리고르스키처럼 인구 7만명의 작은 도시였다. 그곳은 구소련 블록 혹은 그 인접국(불기라이,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몽골리아 등)에서 학생들이 넘어온 특이하고 가난한 곳이었다. 나를 포함하여, 대다수는 장학금을 받으며 다녔다. 내가 2001년 도착했을 땐 코소보 사태 직후였던 터라, 대학에서는 민족적 긴장감이 감돌고 있었다. 나는 거기서 4년을 보냈고, 구소련에 대하여 벨라루스에서보다 훨씬 많이 배웠다.


무엇을 공부했나?

 

대학의 강령은 지역의 더 나은 지도자들, 시민 사회나 정부에서 정치 경력political careers을 쌓을 준비가 된 동창생들을 교육시키는 것이었다. 몇몇은 그렇게 됐지만, 졸업자들은 대부분 컨설팅이나, 감사auditing 또는 회계 법인에 취직했다. 나는 경영학과 경제학 복수학위 취득했다. 초기에는 투자 은행에 취직하려는 야망을 가졌다. 그 야망으로부터 나를 구해낸 것은  전 세계의 모든 거래들이 이루어지는(그래서 만약 증권매매업자들이 ‘O’를 ‘I’로 잘못 타이핑했다면, 그 실수를 잡아내야 한다.) 본머스Bournemouth에 위치한 JP 모건Morgan에서의 10주간의 인턴십이었다. 나는 왜 그들이 그 과정을 자동화하지 않는지 결코 이해할 수 없었다. 아마도 투자은행은 나와 맞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불가리아에서 졸업한 뒤 무엇을 했나?

 

역시 (이 경우에는 교양liberal arts 교육에 사로잡힌 미국의 자선가 개인에 의한) 미국 자본으로 설립되어, 지금은 바드 컬리지Bard College의 일부분인, 작은 규모의 유러피언 컬리지 오브 리버럴 아츠the European College of Liberal Arts에서 일 년간 머무르기로 결정했다. 학위 과정은 아니었지만, 전액을 지불하면 일 년간 바람직한 인문학 과정을 밟을 수 있었다. 내가 끝마친 프로그램은 세 명의 사상가들(프로이트Freud, 맑스Marx, 그리고 푸코Foucault를 연이어)에 초점을 맞췄다. 아홉 달 동안 우리는 매우 광범위하게 읽었다. 소설에 있어서 루카치Lukács , 제임슨Jameson, 노버트 엘리아스Norbert Elias, 수많은 2차 자료들secondary literature 등. 매우 지적인 자극을 주는 프로그램이었다. 하지만 나는 투자 은행에서 일을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을 알았던 만큼, 학자 또한 되고 싶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이러한 공부가 대부분 쓸모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돌이켜보면 그런 공부를 했다는 것이 기쁘지만.

 

당신은 어떻게 투자 은행가에서 뉴 미디어 작가로 전환하게 되었나?

 

나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네덜란드 대사와 결혼하여 불가리아로 온 뒤, 블라고에브그라드에서 강의를 했던 영국-네덜란드 전쟁Anglo-Dutch war[각주:2] 기자reporter 에르노트 판 린덴Aernout Van Lynden이었다. 캠퍼스의 문화 수준은 낮았지만, 그는 우리에게 <뉴욕 리뷰 오브 북스The New York Review of Books>와 <파이낸셜 타임즈FT>를 매일 읽게 독려한 진정한 지식인이었다. 기본적으로 멀리 인적이 끊긴 블라고에브그라드에 사는 이들이 그러한 책들을 읽을 리 만무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단지 경력에 초점을 맞췄다. 내가 장문으로 된 저널리즘을 읽고, 영어로 쓰는 것을 열심히 연습하기 시작한 것은 그의 덕이었다. 동시에, 컬리지의 마지막 학년 즈음 나는 블로깅blogging(단지 현상으로서 블로깅 자체가 아니라, 정치적 도구로서)을 특집 보도하는 기사들이 갑작스레 쏟아지는 것에 주목했다. 하워드 딘Howard Dean이 민주당 후보로 참여한,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와중이었다. 소규모 모금의 수평적 배치와 블로깅, 그리고 ‘마침내 우리는 선거에 자금을 대는 견고한 단체와 그것을 장악하고 있는sway 주류 미디어를 우회할 수 있게 됐다.’는 해방적 수사로 그의 캠페인은 점철됐다. 대략 비슷한 시기였는데 2004년 후반, 나는 (러시아어로 의사소통하는 세계에서 매우 유명한 블로깅 플랫폼)라이브저널LiveJournal이 중요한 역할을 했던 우크라이나Ukraine의 오렌지 혁명Orange Revolution에서 같은 도구의 사용에 대한 흥분의 물결을 보았다. 

그래서 나는 여기에 뭔가 흥미로운 게 있다는 생각을 했다. 미국에서는 미디어와 기금모금에 대한 접근을 민주화하는 것에 대한 담론이 있었고, 이미 우크라이나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결과를 볼 수 있으며, 조지아Georgia나 세르비아Serbia에서는 더 일렀다. 미국의 지원 아래서 세르비아에 대항하는 ‘오트포르!Otpor!’[각주:3]의 활동가들은 컴퓨터 게임을 함으로써 시위를 조직하는 방법을 배웠다고 밝힌 바 있다. 컴퓨터 게임, 문자메시지, 블로깅 등. 이러한 단어들이 나의 뇌리에 스쳤다. 이 기술들에 대한 내 흥미는 높아졌다. 다음 해, 나는 하워드 딘 국면moment의 주요 전문가들이 쓴, <블로그!Blog!>라 불리는 편집본edited collection을 집어 들었다. 아마 나는 중요한 변화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유럽에서 내가 속한 집단보다 한 발 일찍 깨달았던 것 같다.

 

정치에 대한 글을 쓰기 시작한게 그 시점이었나?

 

아니다. 더 일렀다. 2003년쯤 베를린에서 하계학교를 다닐 때, 듣도보도 못한 <아크지Akzia>[각주:4]라는 신문에 자유 투고하며, 언론계에 몸담은 러시아 학생을 만났고, 그녀는 내게 편집장을 소개시켜줬다. 아크지는 러시아 카페나 진보적인 사람hipsters과 지식인들이 머무는 장소에 무료로 분배되었고, 온라인에서 꽤나 활동적인 존재감을 과시했다. 단지 오락용이나 문화적 출판이 아니었다. 그것은 다른 이들보다 좀 더 급진적인 러시아의 청년 혹은 다른 활동가들에 대한 정치적 기사를 연재했다. 그들은 내게 칼럼을 제안했고, 그게 내가 언론계에 몸담기 시작한 순간이었다. 나는 영어로 쓰기 오래 전부터 러시아어로 쓰고 있었다. 하지만 러시아에 대해서 쓴 건 아니었다. 나의 칼럼은 코스모폴리탄cosmopolit라고 이름 붙여졌으며, 전 세계적 이슈(미국 선거, 브라질의 시민 저널리즘과 모바일 기술, 온라인 출판과 저작권, 건축, 하여간)를 다뤘다. 그 당시 나는 러시아 정치에 그다지 사로잡혀 있지 않았다. 나날이 신자유주의에 대한 찬양을 주입하던 불가리아의 아메리칸 대학을 나왔던 것을 고려해봤을 때, 만약 내가 러시아 정치에 경도되어 있었다면, 아마 푸틴Putin의 대안으로서 친(親) 호도르코프스키Khodorkovsky[각주:5] 쪽으로 기울지 않았을까. 부분적으로는 나의 사정(당시 나는 언젠가 벨라루스가 EU에 가입할 수 있으리라 믿을 만큼 여전히 순진했다.)으로 인해, 외국의 정책 이슈를 다룰 때면  러시아와 이러저러한 말다툼을 벌이는 몰도바Moldova나 조지아 같은 작은 국가들과 동질감을 가졌다.

 

 

<원문> (p.45-48)

 

evgeny morozov


SOCIALIZE
THE DATA CENTRES!

 

Your work traces a distinctive path—unlike that of any other technology critic—from a grounding in the politics of post-Cold War Eastern Europe, via critique of Silicon Valley patter, to socio-historical debates around the relations between the Internet and neoliberalism. What was the background that produced this evolution?


I was born in 1984, in the Minsk region of Belarus, in a new mining town called Soligorsk, founded in the late fifties. More or less the whole labour force was brought in from outside, and there’s little sense of national belonging. My father’s family came from the north of Russia; my mother, who was born near Moscow, arrived in the seventies with a degree in mining from Ukraine. The town is dominated by one huge state-owned enterprise that mines potassium and produces fertilizers which sell very well on the world market: it’s still the most profitable company in Belarus. My entire family worked for it, from grandparents to uncles and aunts. The ussr dissolved when I was seven, and while there may have been all sorts of problems with living in a small city like Soligorsk, they were not linked to the ussr’s disappearance. Under Lukashenko, who came to power when I was ten, Belarus was officially bilingual, but Russian was the dominant language, and growing up in Soligorsk felt just like being in a province of Russia. We were much more connected to events in Moscow than in Minsk. Initially there was no Belarusian television; the national media were not very strong, so the newspapers we got, and most of the tv programmes we watched at home, were Russian. People in Kaliningrad probably felt more cut off than I did in Soligorsk. Later, Lukashenko realized that if he didn’t control the flow of media in the country, he could lose the ability to make a case for Belarus to exist as an independent state, however pro-Russian. So he started limiting Russian programming to three or four hours a day, and mixing in some local news and Belarusian programming. But then people like my parents bought satellite dishes and continued watching Russian tv, not particularly because they mistrusted Lukashenko’s politics, but because the local stuff was so boring.

 

How did you come to leave Belarus?


My cousin was lucky enough to have studied for her bachelor’s degree in St Petersburg, before moving to Holland. So there was an expectation in my family that I might be able to do something outside the country. I wanted to spend a year in a high school in the us, but that didn’t work out. The next best thing was to go to the American University in Bulgaria, which had been set up in the early nineties with Soros and usaid—and maybe some State Department—money, in a former school for communist leaders in a small town called Blagoevgrad, near the border with Macedonia and Greece. Like Soligorsk it’s a small town, of 70,000 people; an odd, poor place, where a lot of the students came from the former Soviet bloc or adjacent countries: Bulgaria, Romania, Yugoslavia, Georgia, Armenia, Azerbaijan, Mongolia. Many, like myself, were on scholarships. There was a lot of ethnic tension on the campus when I arrived, in 2001, soon after the Kosovo conflict. I spent four years there, and learnt far more about the former Soviet Union than I ever did in Belarus.


What were you studying?


The mission statement of the university was to educate the future leaders of the region, its alumni set for political careers in government or civil society. Some did that, but its graduates mostly found themselves working in business—in consulting, auditing or accounting firms. I ended up double-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conomics. My initial ambition was to work in an investment bank. What saved me from that was a ten-week internship at JP Morgan in Bournemouth, of all places, making sure all the trades went through; so if any of the traders mistyped ‘0’ as ‘1’, you would have to catch it. I never understood why they couldn’t just automate the process. I realized investment banking was probably not for me.


What did you do after graduating in Bulgaria?


I decided to take a year out at the European College of Liberal Arts, a small outfit, now part of Bard College, that was also set up with American money—in this case by a private us philanthropist obsessed with liberal arts education. It wasn’t a degree programme, but you could do a proper humanities course there for a year, with all expenses paid. The programme I ended up on focused on three thinkers: Freud, Marx and Foucault, in succession. For nine months we read very widely; Lukács on the novel, Jameson, Norbert Elias, a lot of secondary literature. It was a very intellectually stimulating programme. But while I knew I didn’t want to do investment banking, I also didn’t want to be an academic. So I thought most of this study was useless. In retrospect, of course, I’m glad I did it.

 

How did you get from investment banking to writing on new media?


A key influence on me was an Anglo-Dutch war reporter, Aernout Van Lynden, who lectured in Blagoevgrad because he was married to the Dutch ambassador to Bulgaria. The cultural standards on campus were low, but he was a genuine intellectual, who encouraged us to read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and the ft every day. Living in Blagoevgrad—in the middle of nowhere, essentially—those were not at all the kinds of things people read. Most students were just focused on their careers. It was due to him that I started reading long-form journalism and experimenting seriously with writing in English. At the same time, in the last year or so of college I noticed that there was a sudden flow of articles dedicated to blogging—not just blogging as a phenomenon in itself, but as a political tool. This was during the 2004 us presidential election, when Howard Dean was running for the nomination of the Democratic Party. His campaign was marked by the horizontal deployment of micro-fundraising and blogging, and an emancipatory rhetoric—‘finally we can bypass the entrenched institutions that fund elections, and the mainstream media that sway them’. At roughly the same time, in late 2004, I saw the same wave of excitement about the use of these tools in the Orange Revolution in Ukraine, where LiveJournal—a blogging platform that was very popular
in the Russian-speaking world—played a significant role.

So I felt there was something interesting here. In America you had this discourse about the democratization of access to the media and to fundraising, and you could already see results of these changes in Ukraine, and earlier in Georgia and Serbia. Activists in Otpor!, the American-sponsored opposition in Serbia, were reporting that they had learnt how to organize protests by playing computer games. To me, this clicked: the computer games, the text messaging, the blogging . . . My interest in these technologies intensified. The following year, I picked up a book written by leading analysts of the Howard Dean moment, an edited collection called Blog!. I was perhaps a bit ahead of my cohort in Europe in understanding that a major transformation was under way.


At this point you started writing about politics?


No, that came earlier. Around 2003, when I was at a summer school in Berlin, I met a Russian student of journalism who was freelancing for Akzia, a paper I’d never heard of, and she introduced me to the editor. Akzia was distributed free in Russian cafés and places where hipsters and intellectuals hung out, and had a quite active online presence. It wasn’t just an entertainment and culture publication: it featured political pieces about Russian youth and other movements, some more radical than others.
They offered me a column, which is how I started in journalism—I was writing in Russian long before English. But not about Russia: the column was called Kosmopolit and covered a global beat—American elections, citizen journalism and mobile technology in Brazil, online publishing and copyright, architecture, you name it. Back in those days I wasn’t much preoccupied with Russian politics. Had I been, given that I was coming out of the American University in Bulgaria, where we were fed the gospel of neoliberalism on a daily basis, I would have probably inclined toward a Khodorkovsky-like alternative to Putin. On foreign policy
issues, I identified with smaller states like Moldova or Georgia in their various squabbles with Russia, in part because of my background—I was still naive enough to believe that Belarus could one day join the eu.

 

 

 

 

socialize the data centres!(evgeny morozov).pdf

 

 

* 뉴 레프트 리뷰 공식 홈페이지 : http://newleftreview.org/


  1. 에브게니 모로조프Evgeny Morozov: 작가이자, 기술의 정치적, 사회적 함의를 연구하는 벨라루스 출생 연구원이다. 그는 현재 미국의 종합 시사 주간지 <뉴 리퍼블릭>(The New Republic)의 수석 에디터를 맡고 있다. (옮긴이 - 위키피디아) [본문으로]
  2. 영국-네덜란드 전쟁Anglo-Dutch war: 17세기 후반에 있어서의 영국과 네덜란드 양국간의 3차에 걸친 전쟁과 18세기 말엽의 1차례 일어났던 전쟁 (옮긴이 - 위키피디아) [본문으로]
  3. ‘오트포르!Otpor!’: '저항하라!'는 의미의 세르비아어. '오트포르'는 1998년부터 2004년까지, 6년간 존재했던 세르비아의 정치조직이다.(옮긴이 - 위키피디아) [본문으로]
  4. 아크지Akzia: '행동'이라는 뜻의 러시아어(옮긴이) [본문으로]
  5. 미하일 보리소비치 호도르콥스키(1963년~): 러시아의 기업인으로 옛 러시아 최대의 민간 기업이던 석유 회사 유코스의 회장. 푸틴에 대항하여 야당에 정치자금을 대다 '탈세 및 횡령'혐의로 수감 중, 유코스는 파산했다. 이후 특별사면으로 풀려난 호도르코프스키는 강력한 반(反)푸틴 활동을 벌이고 있다. (옮긴이 - 위키피디아)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