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를 처음 만난 것은 대한민국 청년연설대전 연습 과정에서였다. 금빛 머리카락을 갖고 있던 그녀의 첫인상은 매우 밝아 보였다. 그러나 그녀가 입을 떼자마자 그 반짝거림이 순식간에 사라졌다. 그녀는 말했다.
“저는 지난 6년간 나이를 먹지 않았습니다. 아니, 나이를 먹지 못했습니다.”
2012년의 일이었다고 한다. 그녀가 14년간 동경하며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연예인이 있었는데 하루는 그가 그녀를 집으로 초대했다. 둘은 밥을 먹고 영화도 보고 연인이면 할 법한 것들을 했다. 그녀는 그와 자신이 연인이 된 줄 알았지만, 그는 그녀의 입이 너무 가벼워서 문제라며 입단속 후 돈을 줬다. 그 이야기를 들은 어머니가 그 돈을 돌려줬고 그렇게 그와 연락이 끊겼다.
14년을 믿어오고 동경했던 사람이 하루아침에 연락이 끊기자 그녀는 너무 힘들었다고 말했다. 이것이 사랑인지 폭력인지 가늠할 수 없는 날들이 계속해서 흘러갔고 그렇게 두 번의 자살시도가 있었다. 한동안은 정신과 병동 신세를 지기도 했다. 그렇게 6년이 흘렀다.
“왜 제게 그런 일이 일어나야 했는지 생각하고 분노하고 증오하고 죽이고 되살려 놓고 용서를 받고 다시 죽이고 애걸하고 울고 웃고 죽고 죽고 또 죽었습니다.”
연설 연습을 끝마칠 수 있을지 걱정될 정도로 그녀는 말을 하며 펑펑 울었다. 굵은 눈물이 계속해서 뚝뚝 떨어졌고 부축해줘야 하는 것 아닐까 싶을 정도로 그녀는 힘들어 보였다. 연습을 마친 그녀는 대회 날에는 울지 않을 거라며 참가자들에게 말했다. 그녀와의 첫 만남은 그렇게 종료됐다.
2018년 5월 26일, 청년연설대전 본선 무대에 오른 그녀
그 후, 연설대전 행사에서 그녀를 만났다. 검은색의 차분한 원피스를 입은 그녀는 담담하게 앉아 있었다. 앞선 참가자들의 연설을 들으며 그녀는 자신의 순서를 기다렸다. 나는 그녀의 마음이 복잡할 듯하여 쉬는 시간에도 말을 걸지 않았다. 그런데 하필, 그녀 뒤에서 소란이 일어났다.
참가자 중에는 ‘방관도 폭력이다. 우리도 페미니즘을 배우자!’라는 주제로 연설한 남성분이 있었다. 그런데 그분의 연설이 마음에 안 들었다며 훈계를 하는 잔소리꾼이 등장한 것이다. 미투 운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연설자에게 강요하던 잔소리꾼이 말했다.
“아니 그러면 옛날 케케묵은 일들까지 다 꺼내 가지고 처벌을 하란 말이야? 그건 아니잖느냐~”
그녀는 그 이야기를 묵묵히 듣고 있었다. 나는 그 순간 그녀가 연습 때 힘들어했던 모습이 생각났다. 그래서 얼른 그녀 옆으로 뛰어가서 듣지 말라고 말했다. 그리곤 그녀에게 계속해서 말을 걸었다. 조금 떠들다 가겠지라는 생각에 그녀에게 사진을 찍어달라고도 부탁했다. 그러나 잔소리꾼의 말은 내가 사진을 세 장 찍고도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주변에 피해자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못 한 채 날카로운 비수 같은 말들을 계속해서 내던졌다. 나는 잔소리꾼이 사라질 때까지 그녀에게 계속 말을 시켰다. 그렇게 길고 긴 쉬는 시간이 끝났고 잔소리꾼은 유유히 사라졌다.
사람들은 그녀에게 그냥 잊어버리고 살면 된다고 쉽게 말했다. 똥인지 된장인지도 모르면서 겁도 없이 그 집에 찾아간 네가 잘못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를 용서하라고도 말했다. 그리고 용기를 내서 연설에 나선 그녀에게 옛날 일을 들춘다며 떠드는 이도 생겨버렸다.
“상처를 준 사람은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해서 성찰하지 않아요. 하지만 상처를 받은 사람은 자신의 경험을 자꾸 되새김질하고 자신이 왜 상처받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해야 하잖아요. 아프니까.” 김승섭(2017), <<아픔이 길이 되려면>>, 동아시아, p.305
그녀는 지난 6년간 상처받은 이유에 대해 계속해서 되새김질했을 것이다. 그 되새김의 과정에서 요청하지 않았는데도 그녀를 혼내고 훈계하는 일들이 반복됐을 것이다. 우리는 타인의 삶에 대해 너무 쉽게 발언하는 경향이 있다. 그녀가 자신에게 일어난 사건을 들여다보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그 침범들은 그녀를 더 고통스럽게 했을 것이다. 그래서 더더욱 그녀의 연설 중에 가슴에 새겨진 말들이 있었다.
“피해자 여러분, 이유 없이 숨지 마십시오. 가해자 여러분, 비겁하게 숨지 마십시오. 그리고 피해 당사자와 가해 당사자를 제외한 여러분, 어떨 땐 가만히 들어주는 게 도와주는 겁니다.”
그녀는 연설을 마친 후 당당하게 걸어서 무대를 내려왔다. 고생했다며 힘껏 포옹해주는 참가자도 있었다. 그렇게 괜찮은 것처럼 보이던 그녀는 급히 대회장을 나갔다. 뒤따라가 보니 역시, 그 자리는 무척이나 힘든 자리였나 보다. 그녀는 화장실에서 펑펑 울고 있었다. 이제 제대로 말을 했다며 연설 연습을 했던 날보다 더 많이 울었다.
그때 그녀를 다독이던 다른 참가자가 말했다. “우리 언제 한 번 모여서 삼겹살 먹죠! 오늘처럼 딱 붙는 정장 말고 고무줄 바지 입고 말이에요!” 그 말은 그 순간에 정말로 적합한 말이었다고 생각한다. 누군가 울고 있을 때 ‘왜 울고 있니’, ‘네가 잘못한건 아니야?’, ‘잊어버려’의 말보다 같이 삼겹살 먹자는 말이 훨씬 더 알차 보였다. 조만간 우린 고기를 먹을 것이고 그녀가 더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가만히 들어줄 예정이다.
* 그녀가 그 당시 상황을 부른 노래입니다.
* 당사자의 동의를 얻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오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스타프 클림트가 그린 모성이라는 이름의 희망 (0) | 2019.04.09 |
---|---|
열정과 시간을 앗아가는 도둑들 (0) | 2018.08.11 |
국뽕에 더이상 까임방지권을 허락하지 말라 (0) | 2017.09.26 |
“문정왕후어보 반환 운동, 제4악장을 시작합니다.” (1) | 2017.07.11 |
“시민단체, 정상회담을 통한 문화재반환 두 번째 이끌어내다” (0) | 2017.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