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 블로그에 올렸던 글의 서문을 다듬은 글입니다.


 같은 시간을 나눴던 이들과의 모임에는 남다른 기억력을 뽐내는 사람이 꼭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7년 만에 만난 재수친구들과의 술자리에서 유달리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나는 더듬더듬 말을 이어 가고 있었다. “왜 걔 있잖냐. 맨날 잠자고, 자습 빼먹고 피시방 가던 놈. 하, 누구더라...” 다들 조용히 하늘만 쳐다보고 있을 때, 뒤늦게 합류한 A가 치고 들어온다. “아, X 말하는 건가? 자습이 뭐냐. 수업도 빼먹고 피시방 돌아다니느라 바빴지. 걔네 무리가 있었어. Z, W, U랑... 맞다, S. 이렇게 넷이서 같이 다녔잖아. 아, 그리고 니네 그거 아냐? Y랑 X랑 잠깐 사귀었던 거.”

 

이윤기,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2011) 중에서

 

하나 더 있다. 연례행사처럼 모이는 중학교 동창(회라기엔 초라하지만 어쨌든)회. 술이 한두 잔 들어가면 누구 할 것 없이 B에게 말한다. “야, 오랜만에 출석번호 좀 외워봐라.” 싫은 듯, 귀찮은 듯, 하지만 B는 거침이 없다. “1번 C, 2번 G, 3번 F, 4번 Q....” 어느 날은 이 정도로는 성에 안 찼는지 B가 역으로 우리에게 제안을 하는 게 아닌가. “야, 니네 키 번호는 기억하냐. 개학하고 첫 날에 키 번호로 앉았잖아. 1번 F, 2번 C, 3번이 나였고.. 그때만 해도 진짜 작았지, 4번 R....”

 

홍상수, <생활의 발견>(2002) 중에서

 

이런 놈들의 기억력들이 여간 부러운 게 아니긴 하지만, 정작 내가 정말로 닮고 싶은 기억력은 따로 있다. 영화평론가 정성일은 어떤 날을 회상할 때 다른 건 다 모호하더라도 날씨만은 선명하게 기억이 난다고 한 적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그의 글, 말에는 유달리 날씨에 대한 언급이 잦다. 이를테면 그가 친구에게 “그렇게 살지 마”라는 전화를 받은 새벽에는 유달리 비가 많이 왔었고, 영화 동지 정은임 아나운서가 세상을 떠났던 그 해는 10년 만에 가장 더웠다.

 

날씨로 지나간 시간을 기억하는 것은 누군가의 이름, 번호를 기억하는 것과 다르다. 중요한 건 여기서 날씨란 기상청이나 일기예보에서 무미건조하게 예측하고, 보도하는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기억과 맞물린 날씨란 지극히 주관적이다. 물론 날씨는 그때 ‘하필’ 그런 상태였겠지만, 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을 인과의 틀 속에 꾸겨놓곤 하는 우리에게 날씨가 결코 우연으로 남아 있을 리 없다. 그러므로 날씨로 어떤 시간, 공간, 사람을 떠올린다는 것은 그날, 거기서, 그 사람과 함께했던 분위기와 느낌을 전체적으로 떠올린다는 말과 같다. 이 얼마나 근사한가.

 

왕가위, <중경삼림>(1994) 중에서

10월의 마지막 날, 11월부터는 하루하루 날씨를 유심히 기억해 두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아니, 오늘부터 시작해볼까.

 

“2015년 10월 31일 토요일. 엊그제부터 점점 추워지고 있지만, 아직까진 친구들과 나눠 마신 막걸리 한 잔에 추위도, 근심걱정도 털릴 정도. 버틸 만하다.”



 

뚜―뚜. 상대방과 연결되기까지 울리는 이 알림음. 나는 이 연결음이 어떤 컬러링보다도 감미롭게 느껴진다. 통화 상대방이 누구든 상관없다. 연결음이 울리는 동안은 잡생각을 멈출 수 있으니까. 한 박자 여유를 찾을 수도 있다. 전화를 걸어 무슨 말을 할까, 하는 걱정은 단 10초면 사라진다. 조금 과장해서 가끔은 이 연결음이 1분 넘게 지속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상대방 목소리를 듣는 것보다 연결음을 들을 때가 더 반가운 경우다.

 

그러나 “연결이 되지 않아 소리샘으로 연결됩니다”, 라는 메시지를 듣는 순간 마음의 평온은 불안으로 뒤바뀐다. 여유는 긴장으로 전복된다. 이때부터 갖은 추측과 끝없는 공상에 시달린다.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혹여 내가 너무 늦은 시각에 전화를 한 건 아닌지, 별의 별 이유를 찾으려 든다. 당황한 나머지 소리샘으로 연결돼 무심결에 녹음이 될 때도 있다. 대개 상대방에 대한 미련과 애착이 강한 경우다.

 

통화 연결음의 속도는 절대적이지 않다. 좋아하는 이의 연결음은 언제나 빠르다. 반면 싫어하거나 꺼려하는 이의 연결음은 한없이 느리게 지나간다. 이기적인 마음은 언제나 주문을 왼다. 좀 더 느리게 혹은 좀 더 빠르게. 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이 세분화되는 만큼 연결음의 속도는 상대적이다. 더 좋아하는 친구가 있다면 더 빨리 연결음이 흘러가고, 싫어하는 이의 연결음은 속절없이 느리게 지나간다. 상대방에 따라 연결음의 속도가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러나 정말 슬픈 것은, 연결음을 대하는 나의 마음과 상대방의 마음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다. 그걸 알아내는 방법은 약간의 참을성만 있다면 어려운 일이 아니다. 좋아하는 상대방이 전화를 걸 때 유심히 전화기를 지켜보라. 30초도 되지 않아 벨소리가 끊어진다면, 또 그 과정이 여러 번 목격된다면, 당신의 마음과 상대방의 마음은 일치하지 않다는 걸 의미한다. 그게 이성 관계든, 썸이든, 친한 친구 사이든 상관없다. 물론 성급한 일반화일지도 모른다. 이건 법칙이 아니다. 단지 지극히 주관적인 경험들로부터 도출된 하나의 인식일 뿐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실망할 필요는 없다. 사람의 마음이 변하듯, 연결음을 대하는 태도 역시 변한다. 연결음을 애타게 세며 기다리던 마음은 금세 식어버리고, 귀찮기만 했던 연결음이 간절해질 때가 있으며, 무의미했던 연결음이 한 움큼 의미 있게 다가올 때가 있다. 그런 순간이 있다. 때로는 위기로, 때로는 기회로 다가오는 연결음의 변화. 이 순간을 부여잡든, 놓치든 그것은 온전히 당신의 선택에 달려 있다.

 

다만 꺼져버린 전화기는 응답이 없다. 울리지 않는 연결음처럼 공허한 것은 없다. 당신은 연결할 준비가 되었는가.

 

* 사진출처: businessinsider.com

'라커의 [무념유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하기의 어려움  (1) 2015.06.15
특별한 사람을 찾아서  (0) 2015.06.03
방황의 아름다움  (1) 2015.05.20
다락방의 추억  (0) 2015.05.01
시와 도의 경계에서  (1) 2015.04.01

+ Recent posts